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동형암호
- Normaltic
- lemmatization
- 15679
- 해킹입문
- HEaaN
- AI
- 해킹 용어
- pos tagging
- MachineCode
- DNS해킹
- youtubeNormaltic
- 딥러닝
- c언어
- kali
- NLTK
- C
- 모두의 깃&깃허브
- CodeTranslation
- Private AI
- bettercap
- stopword
- DNS개념
- MITM
- CProgramming
- pynput
- 비트시프트
- bagofwords
- 노말틱
- NLP
- Today
- Total
목록Security (5)
일단 테크블로그😊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Private AI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0. Private AI란? 최근 AI 기술이 광범위하게 상용화되면서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의 핵심인 데이터셋의 수집과 사용에 대한 우려도 이와 비례하여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제공한 데이터가 자신도 모르게 학습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개발자 입장에서는 의료 기록이나 금융 거래 내역, 개인정보 등과 같이 민감한 데이터를 윤리적으로 수집하고 학습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동형암호기술을 통하여 데이터셋을 암호화한 뒤 학습시키는 방법입니다. 동형암호기술을 통하여 암호화된 데이터셋을 학습시킬 경우, Raw Data에..

1. DNS(Domain Name System)란? DNS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IP주소의 필요성을 알아야 한다. IP주소는 왜 알아야 할까?? 정말 간단하다.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의문을 가질 것이다. "나는 네이버라는 인터넷 사이트의 IP주소를 모르지만 네이버에 접속하는 데 문제가 없는데?" 이것이 바로 DNS의 핵심이다. 우리는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 네이버의 IP주소를 입력하지 않는다. 구글, 쿠팡, 아마존부터 모든 다양한 사이트들에 대해서도 마친가지이다. 즉, 우리는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네임'을 사용한다. "www.naver.com "의 형식이 바로 도메인 네임인 것이다. 그리고 DNS란, 이 '도메인 네임'을..

지난 이론에 이어 실습을 진행해 보았다. Bettercap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했고, kali 에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프로그램이다.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MITM 공격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자. (**본 실습은 가상머신(VMWare)의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을 bridged wifi로 설정하여 진행되었다. Default 네트워크 어댑터인 NAT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HostPC (가상머신을 실행하는 내 PC)를 통해 통신하며 자신의 가상머신끼리만 내부에서통신이 가능한데, bridge 방식으로 네트워크 어댑터를 설정할 경우, 가상머신도 하나의 PC로써 공유기로부터 ip를 할당받게 된다. 본 방식으로 Kali(가상머신) --> Windows(HostPC) 로 MITM 실습을 진행하였다.) 1. ne..

들어가기 전에.. - MAC주소 물리적이고 고유한 주소(변동되는 IP주소와 달리)로, 랜카드(이더넷 어댑터)에 있다 MAC주소를 알아야 통신이 가능하다.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결정 프로토콜) IP주소를 MAC주소로 바꾸어 알아내는 것!! (왜? MAC주소를 알아야 통신이 가능하다고 했으니 MAC주소를 알아내야지!) 간단한 동작 원리 >> 특정 IP를 가진 디바이스를 전부 물어보듯 찾고, 그 아이피에 해당하는 디바이스는 여기에 응답한다. (ex. 192.158.0.4 전부 손들어)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C%86%8C_%EA%B2%B0%EC%A0%95_%ED%94%84%EB%A1%9C%ED%86%A0..
IP주소 : Internet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규약)의 약자로,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고유 주소라고 할 수 있다. IPv4 : xxx.xxx.xxx.xxx 형태로, 약 43억 개 존. 일찍 이수량이 부족해 할당이 중지되고 IPv6를 새로 만들긴 했지만, IPv6를 바로 적용할 수 없기에, IPv4를 나누어 쓰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을 사용하게 되었다. NAT: 공인IP(외부IP)를 사설 IP(내부 IP)로 변환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공유기를 통해 할당받은 외부 IP주소를, 사용자의 기기에 내부 IP로써 할당하는 것이다. Port : IP주소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떤 프로세스의 데이터인지 구별하는 ..